휴대폰요금 절약 팁: 신용카드, 알뜰폰, 데이터 공유
휴대폰요금을 아끼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알뜰폰에 가입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알뜰폰에 가입하기 위해 서는 자급제 폰을 사야 하는데, 고가 휴대폰을 사면서 공시지원금을 받지 않으면 기기값에 대한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알뜰폰의 경우 공시지원금을 받지 못하므로 선택약정 할인을 받아야 하는데, 요금 자체가 낮으면 선택약정 할인도 그리 크지 않다는 점 또한 단점입니다. 이 때문에 가족 중 한명이 SKT, KT, LGU+ 등의 주요 통신사에서 고가요금제로 휴대폰을 개통하고, 나머지 가족들이 싼 요금제를 사용하며 데이터 공유를 받는것이 휴대폰 요금을 절약하는 팁입니다. 또한 이렇게 주요 통신사를 사용하면 인터넷 요금도 함께 약정으로 묶어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휴 신용카드를 통하여 휴대폰 요금 청구할인을 받는 방법도 있는데, 최소한 5% 이상의 피킹률이 나오는 카드를 선택하여야 할인으로 인하여 이득을 본다고 할 수 있습니다. 2%정도의 피킹률은 다른 카드를 사용하여도 여전히 받을 수 있는 혜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만원 사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최소 15,000원의 통신비 할인을 해 주는 카드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통신비 아끼는 방법: 요금제 관리, 온라인요금제
공시지원금 지원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가 요금제로 휴대폰을 개통 했다면, 요금제를 하향조정하여 휴대폰 요금을 아낄 수 있는데요. 조건에 맞지 않는데 무리하게 요금제를 하향 조정 하면 위약금 폭탄을 받을 수 있으니, 반드시 6개월 이상 해당 요금제를 사용 한 후에 요금제를 조절해야 합니다. 다만 위약금을 토해내지 않으려면 5G요금제의 경우 SKT, LGU+는 45,000원 이상의 요금제로 바꾸어야 하고, KT의 경우 47,000원 이상의 요금제로 변경 하여야 위약금을 피할 수 있습니다. KT와 LGU+에서 제공하는 온라인요금제는 통신사에서 휴대폰 기기를 구매하거나 자급제 공기계를 구매했을 때 이용할 수 있는데요. 기대보다 가격이 저렴하지 않으므로 내가 받을 수 있는 할인 수단을 적용하여 꼼꼼하게 비교 해 보시기 바랍니다.
'Q &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계리직 하는 일, 연봉, 장단점 (0) | 2022.01.12 |
---|---|
드럼세탁기 세제, 일반세탁기 세제 차이점, 바꿔 사용하면? (0) | 2022.01.12 |
인터넷 뱅킹 접속시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했는데 또 설치하라고 할때 해결법 (0) | 2022.01.06 |
지상파, 공중파 차이는? 지상파 공중파 케이블 뜻 공통점 차이점 (0) | 2022.01.06 |
와인은 왜 눕혀서 보관할까? 올바른 와인 보관 방법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