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 & A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시기가 지나면 어떻게 될까? 교환주기, 교체방법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시기가 지나면 어떻게 될까?

차량 계기판에는 엔진오일 교체 시기에 따른 경고등이 뜨도록 제작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차량 제조사에서 설정 해 놓은 값에 따라 경고등이 뜨는 만큼, 개인의 주행 스타일에 관계 없이 운행거리에 따라 경고등이 뜨는 경우가 많은데요. 주로 장거리 운행이 많고 난폭운전을 하지 않는 스타일이라면 경고등이 뜬 다음 조금 더 운행을 하더라도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 다만 엔진오일을 오래 사용하면 슬러지(기름 찌꺼기)가 생기는데요. 이를 방치하면 엔진 마모를 가속화 시키고 엔진 수명을 줄이는 결과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엔진오일을 제때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두 번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놓치거나 엔진오일을 조금 늦게 갈았다고 해서 갑자기 고속도로에서 차가 퍼지거나 사고가 나지는 않습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시기 지나면? 교환주기, 교체방법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시기 지나면? 교환주기, 교체방법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주기 교체방법

일반적으로 승용차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대략 5,000km~10,000km 정도입니다. 디젤 엔진의 경우 5,000km를 기준으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가솔린이나 lpg 차량의 경우에는 10,000km를 기준으로 엔진오일 교환을 권장 하는데요. 운행 스타일에 따라서 엔진오일의 교체 주기도 달라지기 때문에 주로 고속도로나 장거리 운전이 많다면 기준치보다 조금 더 교환주기를 길게 잡아도 되고, 급제동, 급출발이 많은 분이나 시내 운전이 많다면 신호대기 등 공회전도 많아지는 만큼 엔진오일 교체주기를 철저히 지키거나, 조금 더 짧게 잡아도 좋습니다. 차량 메뉴얼에는 해당 차량에 적합한 엔진오일 교체 주기가 나와 있으므로 해당 주기를 기준으로 잡되, 운전 스타일에 따라 조절 하시기 바랍니다. 엔진오일 교환은 리프트로 차량을 띄워서 해야 하고, 기존 엔진오일이 다 빠져나올 때 까지 흘러 나오도록 해야 하므로 차량정비소에 가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